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서귀포카페
- 성수동카페
- 오버스티어
- 이용료입금
- 한눈에알아보는레버리지ETP
- 레이싱기초
- 피어커피로스터스
- 장어 #서초장어 #풍천가 #서초맛집
- 언더스티어링
- 주식배당
- 제주도카페
- 이용료
- PBR
-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 피어커피
- 사시미코스
- 오마카세
- 스시효
- 제주도 #바다를본돼지
- 스시효 청담점
- 오버스티어링
- 예탁금이용료
- 금융투자교육원
- SGC이테크건설
- 롤오버효과
- 시장가
- 공모가
- 현금배당
- 인버스
- 언더스티어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8)
소즐일취 - 소소하고 즐거운 일상과 취미!
PER(Price to Earnings Ratio)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주가 / 주당순이익(EPS = Earning Per Share), 이는 위의 식에서 분자 분모를 발행주식수로 나눈거다. - 이익과 주가와의 관계 - 한국어로는 주가수익률이라고 한다. 내가 어떤 회사를 시가총액으로 산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내가 이 회사를 샀을때 이 회사를 산 금액만큼 본전을 뽑으려면 벌어들이는 이익으로 몇배만큼 더 벌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 이해할 수 있다. 무조건적인건 아니지만 PER이 낮으면 저평가되었다고 하며 PER이 높으면 고평가라고 한다. PBR(Price to Book-value Ratio) - 시가총액 / 순자산(=자본총계) - 주가 / 주당순자산(BPS = Book-value Per Sha..

원래 드라이빙도 좋아하고 자동차도 좋아해서 휠도 사고 Forza Horizon 4도 사서 집에서 신나게 하는데 공부가 좀 필요하고 관심이 생겨서 블로그에 글도 정리하면서 해보려한다. 바로 오버 및 언더스티어부터 가볍게 정리하면서 시작하려 한다. 실제로 레이싱 카페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시작할때 겪었던게 언더스티어라서; ㅋㅋㅋ 그거에 관해 간략하게 정리하면서 자동차 포스팅을 시작해야겠다. 조금 찾아보니 '접지력'이라는 단어가 나와서 간락하게 정리하고 가겠다. 아래에서 나오는 '스티어링'이란 조향을 의미한다. 즉, 핸들을 돌려서 방향을 돌리는것을 말한다! 접지력 자동차 바퀴가 지면과 붙어 있으려는 힘으로 마찰력과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접지력이 좋을수록 미끄러지지 않으며 주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오버..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괴리율(Discrepancy Rate), 복리효과(Compound Impact) 그리고 롤오버효과(Roll-over Effect)에 대해서 교육에서 들은 내용으로 정리해보려한다. 괴리율(Discrepancy Rate) - 말의 의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추적지수를 얼마나 잘 따르느냐에 대한 지표 - ETP의 시장가격과 ETP의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또는 지표가치와의 차이 - 괴리율이 +라는 것은 고평가이며 괴리율이 -라는것은 저평가되었다는 말이다. - 괴리율이 +라는건 현재 ETP의 가격이 지표가치보다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라는건 현재 ETP의 가격이 지표가치보다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아주 쉽게 단순하게 생각하면 저평가 되었을때 ..
기존에 ETP 상품들을 자유롭게 매매 할 수 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교육을 들어야지만 거래를 할 수 있다고 해서 금융투자교육원에서 해당 교육을 들었다. 교육이 생각보다 기본 개념들을 설명 잘해줘서 간략하게나마 정리를 했다. ETP? ETF? ETN? ETP란 Exchange Traded Product의 줄임말로 ETF와 ETN을 포괄하는 총칭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ETF와 ETN이란? 각각 Exchanged Traded Fund 그리고 Exchanged Traded Note를 의미한다. 여기서 종목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추적대상에 따라 주식, 채권, 원자재, 부동산, 통화, 혼합자산, 레버리지/인버스 등등이 있다. ETF(Exchanged Traded Fund) - 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펀드가..

이용료 증권사에 돈을 넣어두면 어느 순간 아래처럼 이용료가 입금되었다는걸 볼 수 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은행처럼 증권거래 계좌에 돈을 넣어두면 증권사는 해당금액을 사용하고 이자처럼 돈을 지급해주는거라고 한다. 이런 이용료는 증권사마다 다르며 증권사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아래는 내가 이용하는 삼성증권 이용료에 관한 링크이다. https://www.samsungpop.com/ux/kor/customer/guide/workproductguide/deposit.do

작년 12월에 매일 출근하면서 HTS를 확인하는데 보유하고 있던 SGC이테크건설이 갑자기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뀌어서 놀라서 뉴스를 찾아봤어요. 너무 놀라서 삼성증권 HTS를 찾아보니 아래처럼 배당락이 발생했다고 하네요. 사진과 링크는 DART에 나와있는 내용입니다!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1228900908 SGC이테크건설/배당락/2020.12.28 dart.fss.or.kr 주식배당은 배당락이 필수라서 배당락이 발생했다고 하네요 그래서 갑자기 가격이 내려가 그랬던거 같아요ㅎㅎ 배당락이 발생해서 배당이 이루어진다는 내용은 저때 알았고 DART에 더 찾아봤더니 아래처럼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이 둘 다 이루어는걸 발견! 지금은 시간이 좀 니나서 ..
배당(Dividend) - 기업이 영엉활동을 통해 벌어들일 수익에서 누적하여 쌓여온 이익잉여금의 일부를 기업의 소유주인 주주들에게 분배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 배당률: 1주당 배당금 / 1주당 액면가액 - 배당수익률: 1주당 배당금 / 현재주가 - 배당금의 경우 배당기준일 당일이 아닌 몇개월이 지나서 지급된다. 배당락(Ex-Dividend) - 배당기준일이 지나서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 또 다른 의미로 배당기준일 전에 배당이 결정된만큼 주식 가격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정확한 정보를 확인 못했지만 배당금액만큼 주식의 가격에서 빠진다고 한다. 이는 배당기준일 바로전에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과 이전에 산 사람들과의 형평성을 위해서라고 한다. - 우리나라는 D+2 제도를 ..

코로나로 상황이 심각한 요즘ㅠㅠ 나가서 외식은 할 수 없고 가족이랑 드라이브를 나갔다 왔어요. 나갔다가 오는겸 오늘은 좀 먼곳에서 커피를 포장해서 오자고 해서 검색을 해서 찾아봤는데 성수동에 PEER COFFEE ROASTERS가 있다고 해서 찾아갔어요! 생각보다 골목안에 있었어요! 앞에 도착해서 입구 사진이에요. 아래는 메뉴판이에요 ㅋㅋㅋ 메뉴가 여러개 있는데 드립 커피에 메뉴가 많은거 같아요ㅎㅎ 메뉴판에서 "브루잉 커피"가 그거에요ㅎㅎ 옆에 있는 원두랑 블랜딩에서 골라서 먹을 수 있었어요. 저는 바닐라 라떼 아이스 2개랑 브루잉 커피에서 과테말라 와이칸으로 했어요! 산미가 없고 구수한걸 좋아한다고 말씀드렸더니 해당 원두를 추천해주셨어요. 이렇게 3개 메뉴가 나오고 원두에 대한 설명 카드도 주셨어요! ..
자본금(Legal Capital) - 주식회사 등이 기업을 설립할 때 출자하는 자금 - 일반적으로 '(액면가) X (총 발행 주식수)'로 나타낸다. - '자본'과는 다르다! 증자(Increase of Capital) -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행위 -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와 같은 방법이 있다.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 (주식 시장가) X (총 발행 주식수)
매출(Sales): - 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이나 용역을 제공함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 - 넓은 의미에서 판매량*판매수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제외하고 판매비와 관리비를 제외한 금액 - 영업이익 = 총이익 - (판매비 + 관리비) = 매출 - 매출원가 - (판매비 + 관리비) (+) 판매비 및 관리비: 상품의 판매활동과 기업의 관리에서 발생하는 비용으로 급여, 광고비 그리고 복리후생비 같은게 있다. 당기순이익(Net Income): - 영업이익에 영업외로 번 이익과 금융투자를 통한 이익을 더하고 법인세비용을 제외한 이익 - 당기순이익: 영업이익 + 금융손익(금융수익 + 금융비용) + 영업외손익(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