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즐일취 - 소소하고 즐거운 일상과 취미!

한눈에 알아보는 레버리지 ETP(ETF, ETN) Guide 교육 정리 - 1 본문

주식

한눈에 알아보는 레버리지 ETP(ETF, ETN) Guide 교육 정리 - 1

TWpower 2021. 1. 23. 16:41

 기존에 ETP 상품들을 자유롭게 매매 할 수 있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교육을 들어야지만 거래를 할 수 있다고 해서 금융투자교육원에서 해당 교육을 들었다. 교육이 생각보다 기본 개념들을 설명 잘해줘서 간략하게나마 정리를 했다.

ETP? ETF? ETN?

 ETP란 Exchange Traded Product의 줄임말로 ETF와 ETN을 포괄하는 총칭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ETF와 ETN이란? 각각 Exchanged Traded Fund 그리고 Exchanged Traded Note를 의미한다. 여기서 종목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추적대상에 따라 주식, 채권, 원자재, 부동산, 통화, 혼합자산, 레버리지/인버스 등등이 있다.

ETF(Exchanged Traded Fund)

- 시장에서 매매할 수 있는 펀드가 거래소에서 상장되어 거래를 할 수 있는 상품

- 추적지수가 보고있는 종목

ETN(Exchanged Traded Note)

- 바로 위와 같은 개념이며 Note는 채권을 의미

- 채권을 상장시킨 증권

레버리지/인버스 ETP

- 레버리지: 추적자산 성과에 배율만큼 2배 혹은 일정 비율 이상으로 따라가는 상품

- 레버리지는 ETP는 추적대상 지수 성과의 +-2배를 실현

일반 ETP

- 추적대상 지수의 일간 변동률을 100% 추적

- 나중에 '복리'가 적용되면 오르거나 내릴때 예상보다 더 오르고 덜 내린건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게 일간 변동률을 추적하기 때문이다.

 신기하게 설명에 레버리지 자체가 법으로 정해놓은게 있다고 나와서 신기했다 ㅋㅋㅋ 내용은 아래와 같다.

금융투자업규정 제7-26조 4항

- ETF 순자산가치의 변화를 가격 및 지수의 변화의 '일정배율'로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배율 역배율 레버리지(+-2배)의 의미

어렵지 않다. 말그대로 추종하는 종목에 배율로 따라갈지다.

- 정배율: 일반 ETF의 운용방식

- 역배율: 인버스 ETF의 운용방식 (-1배)

- 레버리지: 추적대상 지수의 일별 수익률 +-2배, 추적대상 지수의 일별 성과가 +5%라면 이익은 10%를 따르도록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지수를 따른다면 2배 이렇게 오르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레버리지는 단순히 지수만 추종하는게 아니라 파생상품을 넣어서 운영한다고 한다. 레버리지나 인버스 같은 경우에는 2배율 그리고 역배율을 만들기 위해서 파생생품도 일정비율로 섞어서 만든다.

구체적으로 그러면 어떤 파생상품이 있을까? 아래와 같은게 있다고 한다. (아직 스왑은 뭔지 모르겠다..)

- 선물, 스왑 이런 것들을 활용한다.

- 주식을 따라가면 주가지수선물, 채권을 따라가면 채권지수선물

 우선 여기까지 하고 다음시간에 나머지인 괴리율(Discrepancy Rate), 복리효과(Compound Impact) 그리고 롤오버효과(Roll-over Effect)에 대해서 정리해서 끝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