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장어 #서초장어 #풍천가 #서초맛집
- 이용료
- 주식배당
- 제주도 #바다를본돼지
- 스시효
- 성수동카페
- 한눈에알아보는레버리지ETP
- 이용료입금
- 오버스티어
- 오버스티어링
- 레이싱기초
- 제주도카페
- 공모가
- 사시미코스
- 서귀포카페
- 언더스티어
- 오마카세
- 롤오버효과
- 언더스티어링
- SGC이테크건설
- 인버스
- 피어커피
- 스시효 청담점
- 예수금 #증거금 #미수금
- 피어커피로스터스
- PBR
- 금융투자교육원
- 현금배당
- 시장가
- 예탁금이용료
- Today
- Total
소즐일취 - 소소하고 즐거운 일상과 취미!
한눈에 알아보는 레버리지 ETP(ETF, ETN) Guide 교육 정리 - 2 본문
저번 글에 이어서 이번에는 괴리율(Discrepancy Rate), 복리효과(Compound Impact) 그리고 롤오버효과(Roll-over Effect)에 대해서 교육에서 들은 내용으로 정리해보려한다.
괴리율(Discrepancy Rate)
- 말의 의미에서도 볼 수 있듯이 추적지수를 얼마나 잘 따르느냐에 대한 지표
- ETP의 시장가격과 ETP의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 또는 지표가치와의 차이
- 괴리율이 +라는 것은 고평가이며 괴리율이 -라는것은 저평가되었다는 말이다.
- 괴리율이 +라는건 현재 ETP의 가격이 지표가치보다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라는건 현재 ETP의 가격이 지표가치보다 싸게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아주 쉽게 단순하게 생각하면 저평가 되었을때 구매하면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단, 절대적인 법칙은 아니다!)
(추가 및 참고)
- 순자산가치 = ETP 자산 - 부채 및 관련비용
- 주당순자산가치 = 순자산가치/총발행주식수
그러면 괴리율은 왜 발생하고 나타났을때는 어떻게 조정할까?!
- 이유
1. 자산을 그대로 따라가지 않는다. KOSPI 200을 추종하는 ETF가 있다고 했을때 200을 모두 담는게 아니라 일부의 종목만 담을 수 있기때문에 그렇다. 예를 들어 120개만 추종할수도 있고 150개로 늘려서 추종할수도 있다. 그리고 이건 내 생각인데 파생상품의 비율도 영향이 있을거 같다.
2. 운영금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순자산가치(NAV)는 전체 ETF 가격에서 운용자금을 뺀 나머지인데 이때 운용자금의 비율에 따라서도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 차익거래: 괴리율이 +인 경우 이때는 고평가 된경우로 볼 수 있다. 이때는 해당 ETF의 가격은 내려야 한다. 그렇기에 ETF를 보유하고 있다면 유동성 공급자(LP)가 이를 매도하고 해당 추종종목들을 매수해 대상 종목들은 올리고 ETF의 가격을 내려서 고평가를 다시 원래 기준으로 조정을 할 수 있다.
재밌는 사례를 강좌에서 소개해줬는데 괴리율을 조정해야하기 때문에 추종하는 종목들이 올라도 ETF가격은 내릴수도 있다고 한다.
복리효과(Compound Impact)
- 복리 : 이자가 늘어난다.
- 레버리지 ETP의 운영방식 '일별 수익율의 +-2배'
- 복리 때문에 쭉 증가하는경우 아주 미약하게 레버리지가 더 수익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증가의 경우 일별 수익율의 배율로 증가하기 때문에 어제에 비해 상승분만큼 또 배율로 오르기 때문이다. 기존 은행의 복리를 생각하면 쉽다!
- 반대로 인버스2X는 덜 손해본다.
- 하락장에서 예를 들면 인버스2x의 경우 더 수익을 보고 레버리지는 또 덜 손해를 본다.
롤오버효과(Roll-over Effect)
- 롤오버효과(Roll-over Effect)란 ETP에 들어가있는 파생상품(선물과 같은)이 만기가 되어 거래월물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이나 수익을 의미한다.
- 파생상품은 기간에 따라 묶이기 때문에 바뀐다고 한다.
- 이때 거래월물의 값에 따라 수익이나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예시로, 만약 넘어가는 거래월물이 지금보다 비싸다면 손해가 발생하고 싸다면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
- http://mobile.kifin.or.kr/popup/popup_etp.jsp
- https://www.youtube.com/watch?v=1juu3opZeR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정리 - PER, PBR, ROE (0) | 2021.02.21 |
---|---|
한눈에 알아보는 레버리지 ETP(ETF, ETN) Guide 교육 정리 - 1 (0) | 2021.01.23 |
용어정리 - 예탁금 이용료란? (0) | 2021.01.11 |
투자일지 - SGC이테크건설 현금배당(Cash Dividend) 및 주식배당(Stock Dividend) (0) | 2021.01.03 |
용어정리 - 배당(Dividend) 그리고 배당락(Ex-Dividend) (0) | 2020.12.27 |